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0년부터 2021년까지 2년여간 중지됐던 예비군 훈련이 올해인 2022년부터 재개됩니다.
병무청은 올해 6월부터 12월까지 본격적인 병력동원훈련(예비군훈련) 소집을 실시한다고 밝혔는데요. 이번엔 새로 시행되는 예비군 훈련의 특징과 방식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예비군훈련 시행 기간
2022년 6월 20일 ~ 12월 15일
이번 2022년부터 새롭게 시행되는 예비군훈련은
곧 다가오는 6월20일(월)부터 12월 15일(목)까지 시행됩니다.
군이 점점 더 과학화 훈련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만큼,
2022년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예비군 훈련에서는
조금 더 기존의 훈련 방식보다, 쉽고 간편한 방식으로
바뀌어 시행될 가능성이 큽니다.
2. 소집 통지 방법
모바일 통지서 + 우편 통지서 혼용
이번 2022 예비군훈련은 대상별로 통지되는 기간이 조금 다른데요,
훈련기준일의 약 22일전부터 각 예비군 본인명의의 개인연락처로
'모바일 소집 통지서'가 발송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단, 모바일 소집 통지서를 받지 못했거나 열람하지 않은 예비군들은
병무청에서 자체적으로 파악하여
기존 방식대로 '우편 소집 통지서' 를 발송한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합리적으로 바뀐 새로운 예비군 훈련 고지의 특징은
각 예비군들이 현재 거주하고 있는 거주지로
훈련 7일전까지 모두 발송하는 것이라고 하니,
누락되어 예비군 훈련에 불참하실 걱정은 적으실 것 같습니다.
미리 훈련일정 조정이 필요하시거나,미리 훈련일정을 알고 싶으신 예비군 분들은
아래 병무청 홈페이지를 방문하시거나
https://www.mma.go.kr/index.do
병무청
청장에게바란다, 신고 및 제보 등
www.mma.go.kr
병무청 대표 번호인
☎ 1588 - 9090으로 전화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 소집 대상
약 50여만명으로 추산
저번 달인 5월, 병무청의 공식표에 따르면
올해 2022년부터 재개되는 예비군훈련의 소집 대상자는
약 5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었습니다.
예비군 소집의 대상자들은 전역한 연도로부터 1년 이상이 경과한 분들입니다.
-병사: 전역한 해로부터 1년 이상 차수에 해당하는자
-장교/부사관: 전역한 해로부터 1년 이상 차수에 해당하는자
*즉, 올해인 2022년에 전역하신 분들은 이번 예비군 훈련 소집대상자에서 제외됩니다.
4. 소집시간
군별, 장소(지역)별로 차이 존재
이번 예비군훈련은 코로나 팬데믹 이전에 운용되던예비군 훈련에 비해, '축소'되어 컴팩트하게 운영되는 것이주된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그러다보니, 군별, 장소(지역)별로 현실적인 상황을 반영해소집 시간에서도 차이를 두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군별 소집 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육군: 해당 소집일의 09:00까지 입소, 18:00 퇴소
-해/공군: 해당 소집일의 10:00까지 입소, 18:00 퇴소
(*단, 예비군훈련 장소로 고지받은 소집부대의 위치가 거주지에서 100km이상
떨어진 경우, 육/해/공군 예비군 모두 1시간 일찍인 17:00에 퇴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5. 연차별 예비군 훈련 방식
2박3일 훈련 -> 16시간 훈련으로 전원 조정
기존 예비군 훈련은 병 기준 전역 4년차까지는
예비군훈련을 2박3일간 해당 장소에 입소해 받았는데요.
이번 2022년 예비군훈련부터는 코로나 상황을 감안해
16시간 훈련만 이수하면 되는 것으로 전체 조정 되었습니다.
1. 동원 지정 훈련
-병 전역(1~4년차) / 간부 전역(1~6년차) : 동원 훈련 8시간 + 원격교육 8시간
*훈련 장소는 소집부대 또는 동원훈련장으로 함
*단, 예비군 훈련을 받는 부대의 위치가 거주지로부터 200km 이상이면,
고지 받은 소집부대가 아닌 해당 지역의 훈련장에서 실시할 수 있음.
2. 동원 미지정 훈련
-병 전역(1~4년차) / 간부 전역(1~6년차) : 기본 훈련 8시간 + 원격교육 8시간
*훈련 장소는 거주지역 예비군 훈련장
3. 지역 예비군 훈련
-병 전역(5~6년차) : 기본 훈련 8시간 + 원격교육 8시간
-병 전역(7~8년차) : 기본 훈련 8시간
*병 전역 7년차부터는 의무 원격 온라인 교육 8시간 면제
-간부 전역(7년차~연령 정년) : 기본 훈련(이월된 훈련 시간만큼만 실시)
*훈련 장소는 위 3가지 경우 모두 거주지역 예비군 훈련장
지금까지 살펴본, 연차별 2022 예비군 훈련의 특징 및 방식을 살펴보니 간단하죠?
위에서 말씀드린대로, 병사로 군복무를 한 대다수 예비군 분들은
전역한지 7년차 이상부터는 의무적으로 실시되는
'온라인 원격 교육' 8시간을 면제받는 것이 특징입니다.
아쉽게도, 전역한지 6년차까지 되시는 예비군분들은
기본 훈련 8시간을 필수하는 것 외에도
온라인 원격교육 8시간도 필수로 이수해야한다고 하네요... ^^;;;
그래도 예비군훈련의 주된 특징이
기존 예비군 훈련보다 컴팩트하고 간단하게 진행되는 것이므로
너무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6. 훈련 면제 및 조기퇴소 대상자
훈련면제 대상 예비군
2022년 예비군 훈련부터는 특정 대상과 지역에 대한 배려가
일부 적용된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산불 피해 등 현재 특별재난 선포지역으로 선정된 4곳에 거주하는 예비군들은
이번 2022년 예비군 훈련을 면제 받습니다.
해당되는 지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경북 울진군 / 강원 삼척 / 강원 강릉 / 강원 동해
조기퇴소 대상 예비군
1. 군 원격교육 시행자( 2020~2021년 )
코로나19로 예비군이 시행되지 않았던 2022년과 2021년에
군(병무청)은 대체 훈련으로서 예비군을 대상으로
자발적인 온라인 원격교육을 이미 시행한 바 있습니다.
각 년도별로, 원격교육을 완료했다면 횟수당 2시간씩
조기퇴소 프리미엄이 적용됩니다.
이번 예비군훈련의 방식은 생각보다 아주 합리적이죠?
가령, 조기퇴소 프리미엄이 적용되는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Ex) 2020년이나 2021년 중 한 해만 원격교육을 이수했을 경우 -> 2시간 조기퇴소
2020년과 2021년 모두 원격교육을 이수했을 경우 -> 4시간 조기퇴소
2. 헌혈자 ( 2020~2021년 )
코로나19로 예비군이 시행되지 않았던
2020~2021년에 헌혈을 시행했던 예비군이라면
이번 2022년 예비군 훈련에서 1회당 1시간씩 훈련 시간을 감축 받습니다.
Ex) 2020년이나 2021년 중 한 해만 헌혈을 했을 경우 -> 1시간 조기퇴소
2020년과 2021년 모두 헌혈을 했을 경우 -> 2시간 조기퇴소
7. 예비군 훈련 준비물
챙겨가야할 것들
*동원 훈련시 필요한 준비물:
동원훈련통지서, 신분증, 본인통장계좌번호(훈련비 입금 받는 용도),
세면도구,수건, 양말, 속옷등 이 있습니다.
'사회 > 사회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위터 인수 일론 머스크, 애플과 갈등 이유는? (0) | 2022.11.29 |
---|---|
[이슈정리] 행안부 경찰국 신설 알아보기! 경찰국, 31년만에 부활!? (1) | 2022.06.21 |
[이슈] 당구여제 차유람 은퇴 선언과 국민의힘 입당 이유 (0) | 2022.05.27 |
토트넘 손흥민, 챔스 가나? 아스날 패배로 리그 4위로! (0) | 2022.05.17 |
쥬얼리 출신 조민아, 남편으로부터 가정폭력 피해 정황 포착 (0) | 2022.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