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 베버(Max Weber) : 독일 출신의 사회학자이며, 에밀 뒤르켐과 함께 '사회학'을 하나의
분과학문으로서 제도화시키기 위하여 노력했던 인물이다. 여러권의 대표 저서들을 남긴 학자로도 유명하다.
<1>생애: 1864년4월21일 출생~ 1920년6월14일 사망
독일 튀링겐주(州) 에르푸르트에서 태어났다. 하이델베르크 대학, 베를린 대학 등 4곳에서
철학, 역사학, 경제학 등 여러 학문을 폭넓게 공부하였다. 특히 1892년 베를린 대학을 시작으로
독일 내의 여러 대학교들에서 강의와 연구에만 몰두하였다.
대표적인 저작으로는 <경제와 사회>, <종교 사회학 논총>, <세계 종교의 경제윤리> 등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논문으로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의 정신〉(1904∼1905)이 있으며,
사회학 전공서의 기본 중에 하나로도 손꼽힌다.
막스 베버는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군에 입대하고 퇴역 후 정치활동에 투신하였다.
하지만, 독일이 패전한 이후 독일 민주당에 들어가 국민들에게 "계몽활동"을 펼치는한편
뮌헨 대학에서 강의 활동을 계속해 나가다 1920년 6월 갑작스럽게 사망하였다.
<2>특징: "사회적 현상에대한 과학적 접근과 인식을 추구"
막스베버는 칼 마르크스에게서 상당한 영향을 받았지만, 한편으로는 마르크스주의를 단호히 배격한다.
특히, 마르크스주의에서 2가지 지점을 강하게 부정하고 비판한다. 그것은 아래와 같다.
①역사유물론적 인식
②경제결정론적 인식
물론, 베버가 마르크스주의 전체를 부정한 것은 아니었지만, 막스베버의 방법론상의 개념은 과학과 가치판단을 명확히 구별하는 이른바 ‘몰가치성(沒價値性)’을 추구하며, 또 사회현상에 대해서 인식주체(認識主體)가 하나의 문제의식(問題意識)을 가지고 주관적으로 구성하는 ‘이념형(理念型)’의 사회과학적 이론을 정립하고자 했다. 그는 이로써 여러 역사적 ·사회적 현상에 대한 과학적 인식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소위 마르크스와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역사유물론'적 입장과 해석 그리고
비과학적인 '역사매몰적'인식에 대해서 막스 베버는 매우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
뿐만 아니라, 베버는 마르크스주의에서 주장하는 '자본주의'와 '경제적 원인'이 사회의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경제결정론적 인식'에 대하여는 매우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3>학문적 의의:
①마르크스 유물사관에 대한 비판과 학문적 외연 확장
②기존 사회학 이론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해석의 성공
우선. 막스 베버는 ①마르크스주의를 유물사관(唯物史觀)에 대해 주관적으로 구성된
하나의 이념형으로 파악함으로써 절대적으로 신봉한 것이 아니라 상대화(相對化)하였고.
나아가, 경제적인 요인에 의해 사회의 모든 현상과 결과론적인 해석이 가능하다는
마르크스주의의 역사적 인과관계(因果關係)론적 유물사관에서 벗어나 종교, 정치 등
다양한 영역 행위동기와 연결시켜 역사적인 인식론을 완성시키려고 하였다.
이러한 시도 중 가장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막스베버가 직접 저술한 저서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의 정신〉가 그 성과 중의 하나이다.
여기서는 근대 유럽에서의 자본주의의 발생을,
프로테스탄티즘, 특히 칼뱅주의의 교리하에서 근면 성실해야한다는
인간이면 당연히 행해야 할 삶의 '교리'이자 '원칙'
즉, 금욕(禁慾)과 근로에 힘쓰는 종교적 생활태도와 연관시켜 해석하고자 했다.
<4>막스베버와 사회학
막스 베버에게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막스베버는 칼 마르크스에게 상당한 영향을 받았지만, 위에서 언급했듯이
마르크스의 '경제결정론'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입장을 취했다.
다시 말해, 베버는 어떤 특정한 사회적 조건 속에서는 '경제'나 '물질적 토대'가
사회의 모든것을 결정지어버릴 수 있지만.
다른 역사적 시대와, 문화에서는 종교나 정치적 영역에서의 역동성과 영향력이
'경제'보다 더 강력한 결정조건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렇다면"
막스베버에게 ''사회학"은 도대체 어떤 의미이며 존재인가?
이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선
베버가 제시한 '사회학적 방법'론 2가지를 알아보는 것이 유용하다.
*이해 사회학(Verstehende)
소위 '이해 사회학'이라고 하는 막스베버의 사회학적 방법론은
보다, 가치중립적이고 과학적이며 형이상학적이기보다 '이념형'에 가깝다.
따라서, 보다 쉽게 정의하자면
①이해사회학 +②가치중립의 과학 + ③이념형의 방법론(Ideal Type)
이라는 3가지 방식의 결합이, "막스 베버"의 가장 큰 사회학적 이해방식이다.
1."이해 사회학"
막스 베버는 '이해'를 중시하는 해석적 사회과학을 추구했다.
따라서, 가장 중요시 여긴 부분은 '의미의 세계(영역)'으로
이는 '무엇이 누구에게 어떤 것을 의미했는가?'라는 질문과같이
통합적인 시각에서 의미론적 접근을 중시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한 사회를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해서
'이해적 접근'이 있어 왔는데.
기존(과거)와 달리 단순하게 역사와 사회 전체를 관통하는
'공통된 법칙'을 꼭 찾기보다
한 사회 그 자체를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식'이 있어야한다는 것이
이해 사회학 이론의 핵심이다.
2."가치 중립의 과학"
따라서, 막스베버는 좀 더 실증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너무나 방대하고 규정하기 어려운 '사회'라는 존재를 파악하고자 하였고.
그러기 위해서는 마르크스주의자들과 달리
'경제'라는 절대적인 규정과 잣대로만 사회를 보려해선 안되고,
보다 중립적인 시각에서 종교, 정치, 역사 등 경제외적인
다양한 영역에서의 역동성과 영향력들을 함께 고려해야한다고 말했다.
3."이념형의 방법론"
사회를 파악하기 위해서 끊임없는 자기 질문을 던졌던 것이
'막스 베버'이다.
가령, 사회 그 자체에 내포되어있는
관계, 행위, 구조, 제도 등은
한 사회를 나타내주는 '속성'이며
이러한 속성을 파악하는 것만이
사회를 파악하는 주요한 방법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뜬구름잡기식이나, 구먹구구식 접근보다는
정리되고 정립된 하나의 '이념'을 통해서 사회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접근이라고 본 것이다.
*합리화 이론(Rationalization)
결론적으로, 막스 베버가 주장한 '사회'라는 개념은
경제 사회학, 자본주의 이론, 정치사회학(국가론)과 함께
'종교 사회학'이 포함되어 있는 보다 포괄적인 범주이며
이 모든 것을 통합적으로 고려했을때
'전통 사회'에서 '현대 사회'로의 이행과 진보를
막스 베버는 '합리화의 과정'이라고 규정했다.
즉, 고대에서 중세로, 중세에서 근대로, 근대에서 현대로의
인류사적인 이행과 진행은
인간의 삶이 '합리화' 되어오는 과정이었다는 것이다.
"베버가 보는 '사회'라는 것"
이제 마지막으로 정리를 한 번 해보면,
결국 막스 베버가 보기엔 "모든 현상의 토대가 되는 것은 사회적 행위이다."
즉, 모든 사회나 역사의 출발점은 결국 한 인간의 '사회적 행위'에서 비롯됐다는 것이다.
또한, 동시에 베버는 "역사란 개개인의 의도와 상관없이 이루어지는 것"임을 강조했다.
막스베버의 사회를 바라는 시각을
최종적으로 정리를 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역사(사회변동)은 개개인의 의도나 행위로 치환되거나 환원 될수는 없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위자들이 무엇을 위해 행동했고, 그것이 다른 행위자들에게
어떤 의도를 남겼고, 영향을 끼쳤는지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2. 따라서, 사회를 파악하기 위한 제1목표는 '인간의 행위'를 관찰하는 것이다.
=> 한 개개인들은 이미 미시적인 차원에서 선택권없이 삶을 시작한다.
가령, 사람은 태어날때 자신의 사회적 환경, 문화, 언어 등을 선택할 수 없다.
이러한 의미에서, 막스베버는 인간은 '던져진 존재'라고 규정하기도 했다.
결국, 사회적 행위라는 것은 개인의 일방적인 선택과 의도로서는 완성되기 어려우며,
인간-사회라는 두 존재 간의 사회적 작용이 이루어질때 곧 의미를 지닌다는 것이다.
★tip★: 막스 베버는 이러한 행위와 상호작용안에 어떤 의미가 담겨있고,
어떻게 작동하는지 파악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5>사회학의 과제
앞서도 언급했지만, 막스 베버는 '사회학의 과제'로서
어떤 사회적 관계에 대해 그 의미를 이해하고 행위의 동태를 관찰,파악해
전 과정을 '인과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보았다.
1.이해 + 2.설명 이라는 두 가지 조건을 맞아 떨어져야하고,
"인과관계'를 통해서 모든 행위를 증명하고 이해할 수 있을때
비로소 막스베버가 말한 "사회학"이라는 것은 완성되며
우리 삶에 더 큰 깨우침을 가져다 줄 것이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학자들: 에밀 뒤르켐 2편> (0) | 2022.03.24 |
---|---|
<사회학자들: 에밀 뒤르켐 1편> (0) | 2022.03.07 |
<사회학자들: 칼 마르크스 3편> (0) | 2022.03.02 |
<사회학자들: 칼 마르크스 2편> (0) | 2022.02.21 |
<사회학자들: 칼 마르크스 1편> (2) | 2022.0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