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국내 치과 경영실태 분석 5분 만에 총정리!
2024년 올해 국내 치과 경영실태 분석을 5분 만에 총정리해 드립니다. 이제는 어떤 업종의 병의원도 경영상의 문제점을 제대로 알지 못하다면 제대로 된 운영 역시 어려울 수밖에 없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치과의료정책연구원>의 기본 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 치과 경영의 실태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는 시간 갖도록 하겠습니다.
[ 목 차 ]
1. 치과 경영의 어려움 및 고민거리
2. 국내 치과 매출 현황 (2023)
3. 진료 중 건강보험 적용 및 수령 비율
4. 마무리
1. 치과 경영 어려움 및 고민거리
국내 치과 경영실태를 분석을 본격적으로 해드리기 전에, 최근 들어 대부분 원장님들께서 경영 어려움을 꽤 많이 호소하시는데요, 정확한 고민거리는 무엇일지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작년인 2023년 기준, 개원의 중에서 '치과를 경영하며 어려움을 겪은바가 있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전체의 85.4%였으며, 14.6%는 어려움이 없었다고 응답했습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대부분의 개원의들이 경영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었다는 사실인데요.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영어려움으로 가장 많이 손꼽은 요인 1위는 '수익감소'로 무려 83.0%입니다. 이어서 높은 응답률을 보인 곳은, 구인난 및 인력충원 어려움으로 76.9%을 손꼽았습니다. 그 뒤로는 과도한 행정적 절차(58.1%)와 주변 치과와의 과도한 경쟁(41.7%) 순으로 어려움을 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주목해봐야할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치과의사들이 '경영이 어렵지만, 별다른 방법이 없어서 계속 치과를 운영하고 있다'라고 응답한 부분이다.(56.5%)
치과 경영에 대한 주관적 상태 (n=1,268) | ||
분류 | 빈도(N) | 퍼센트(%) |
변함없이 좋다 | 21 | 1.7% |
과거같지는 않지만, 그래도 이정도면 계속 할만하다 | 364 | 28.7% |
어렵지만 별 다른 방법이 없어 계속하고 있다 | 716 | 56.5% |
치과 운영을 포기하고 싶다 | 105 | 8.3% |
치과의사 외에 다른 직종으로 이직하고 싶다 | 39 | 3.1% |
예전보다 더 좋아졌다 | 23 | 1.8% |
2. 국내 치과 매출 현황 (2023)
국내 치과 경영실태 분석이라는 주제로 시작된 이번 글에서 이어서 '국내 치과 매출 현황'에 대해서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전체 응답자 중에서 2022년 (재작년) 대비 2023년 (작년) 치과 매출 변화에 대해 물은 결과. 단 16.6%만이 매출이 증가했다고 응답했으며, 60.4%는 오히려 매출이 감소했다고 응답한 부분을 주목해 볼 수 있습니다. 변화가 없다고 응답한 자는 22.9%밖에 되지 않았다는 점이 국내 치과의 매출이 대부분 감소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네요.
물론,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다양한 의견들이 오가고 있지만 '임플란트' 경우에는 이미 대부분의 사람들이 진행을 했고, 재진행은 크게 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매출액에 영향이 있다고 보이며, 반대로 미백이나 래미네이트 등을 꾸준히 하는 사람들도 줄어든 것이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입니다.
2022년 대비 2023년 치과 <매출 변화> 및 <증감 평균값> | ||
분류 | 매출 증감 | 평균값 |
매출 증가 | 13.3% | -8.3% |
매출 감소 | -17.4% |
위 표는 재작년 대비, 작년 치과들이 얼마나 매출액이 증가 또는 감소했고 그에 대한 평균값은 얼마인지 알려주는 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매출 증가라고 응답한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13.3%이 증가했다고 응답했고, 매출 감소라고 응답한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17.4%가 감소했다고 응답했습니다. 이에 대한 평균값은 -8.3%로 수렴합니다.
또한, 개원연차가 높을수록 '매출액' 감소폭에 평균적으로 컸던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 개원연차 1~10년 차: -3.9%
- 개원연차 11~20년 차: -8.7%
- 개원연차 21~30년 차: -9.1%
- 개원연차 31년 차 이상: -12.5%
전반적으로, "개원 연차가 높을수록", "직원 수가 적을수록", "단독개원일수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매출 감소폭'이 큰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났습니다.
치과 매출 감소의 원인 (n=766) | ||
분류 | 빈도(N) | 퍼센트(%) |
치과 증가로 인한 환자수 감소 | 593 | 77.5% |
과도한 경쟁으로 인한 비급여수가 하락 | 477 | 62.4% |
코로나로 인한, 경기 악영향의 지속 | 301 | 52.1% |
물가상승 대비 낮은 수가 | 396 | 51.8% |
과도한 광고&마케팅 비용 | 53 | 6.9% |
기타 | 22 | 2.9% |
전체 | 1,842 | 240.8% |
이번 전국적으로 실시된 조사에서 '치과 매출이 감소했다'라고 응답한 766명 중에서 매출 감소 요인으로 압도적으로 꼽은 77.5%는 '치과 증가로 인한 환자수 감소'를 압도적으로 꼽았습니다.
이것만 봐도, 국내에 치과의사들과 치과가 과잉공급되었는지 제대로 알 수 있는 대목이죠.
3. 진료 중 건강보험 적용 및 수령 비율
(1) 진료 중 건강보험 적용
우리가 또 하나 주목해 볼 것이 '2023년 치과들의 총매출 중' 건강보험 적용 진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평균적으로 35.6%에 달했습니다. 재작년인 2022년을 기준으로 했을 때 2022년 대비 2023년 건강보험 진료 증감에 대해서 '전체 응답자'의 50.4%가 증가했다고 답하였고, 27.7%는 변화가 없었다. 21.9% 건강보험 진료가 감소했다고 응답했습니다.
2022년 대비 2023년 치과 건강보험 적용 진료 비율 변화 | ||
분류 | 건보 적용 증감 평균 | 평균값 |
건강보험 진료 증가 | 15.8% | 5.3% |
건강보험진료 | -16.0% |
2022년도 대비, 2023년 건강보험 적용 진료 비율은 전체 평균 5.3% 증가했으며, 건강보험 진료 증가의 경우 평균적으로 15.8% 감소의 경우에는 '평균 16.0%'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건강보험 수령 비율
위 표를 보시면, 치과진료 중 건강보험 적용 진료 비율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X축은 '건강보험 적용 진료 비율'이고 Y축은 응답자 비율'인데요. 확실히 30~40% 사이의 건보 적용 진료를 실시하는 비율이 치과 중에서 가장 높습니다.
4. 마무리
치과 운영에 대한 어려움은 확실히 모든 종사자들이 느끼고 있으나, 비단 의사들에게만 포함되는 이야기는 아닌 것 같습니다.
Q1. 매출 감소의 주된 원인은 어떤 것일까?
치과수 증가로 인한 환자수 감소, 과도한 경쟁으로 인한 비급여 수가 하락 등이 꼽히지만 '한국 사회의 경기침체'문제와 '치과의사 과잉배출'로 인한 경쟁 심화가 나타남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의사수 조정 혹은 수가 현실화 등 치과 운영에 필요한 안정화된 조치들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을 조언합니다.
Q2. 구인난 여파도 매우 심각
우리나라 치과에서 인건비는 전년대비 17.0% 증가하였으며, 영업비용 항목 중 가장 많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전문가들 의견에 따르면 1) 꾸준히 증가해 온 최저임금 인상(2024년 기준 9,860원)과 치과계 직원 구인난의 여파인 것으로 보인다.
직면한 현실적인 문제인 것은 맞지만, 한국 경제의 전반적인 추세를 그대로 직면하고 있는 것이어서 '국가차원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보입니다.
지금까지 2024 우리나라 치과 경영실태에 대해서 정리해 드렸으며, 다음번에 더 유익한 주제로 찾아뵙겠습니다.
'정보장터 > 일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신청조건 방법 총정리 (0) | 2024.07.20 |
---|---|
올웨이즈(올팜)을 사람들이 선호하는 이유 (2) | 2023.10.19 |
암보험 가입자가 유의해야 할 "6가지 필수 정보" (1) | 2023.05.04 |
최대 330만원 지원! 2023 근로장려금 신청조건 및 신청방법 정리! (2) | 2023.05.02 |
[꿀팁] 꼭 알고 있어야 할, 정부 지원 금융 정책의 종류와 혜택! (2) | 2023.04.27 |
댓글